https://codegarden-farmjun.tistory.com/117
[홈 서버 - 1] 맥 미니로 홈 서버 구축을 하기로 결정한 이유
Why 홈 서버?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맥 미니로 홈 서버를 직접 구축하기로 했습니다.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현재 저는 Spring Framework를 활용한 Backend 개발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금 일 년 넘게
codegarden-farmjun.tistory.com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맥 미니를 홈 서버로 사용하기로 결정했으니, 원격에서 맥 미니에 접속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작업을 해야 할 때마다, 맥 미니가 있는 제 자취방에 와서 모니터를 연결하고 작업을 하는 건 사실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렇기에 맥 미니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원격에서 다른 컴퓨터에 접속을 하려면 일반적으로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역시 애플!
자체적으로 VNC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1. 화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잘 찾아보면 "화면 공유"라는 앱이 자체적으로 존재합니다.
들어가 보면 이렇게 원격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 + " 버튼을 클릭해서 호스트 이름 또는 Apple ID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사실 저 뒤에 이미 제가 등록한 맥 미니가 있지만, 없다 치고 진행하겠습니다.
2. 원격 접속 설정
이제 그럼 저 부분에 들어갈 부분은 어디서 찾을 수 있냐
맥 미니의 "설정" -> "일반" -> "공유"
"원격 관리를" On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화면 공유" 부분에 "이 서비스는 원격 관리 서비스가 제어하고 있습니다."라고 뜹니다.
이때, 원격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옵션들이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도 있고, 특정 사용자만을 접속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서버 접속을 위한 용도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만을 접근할 수 있게 설정했습니다.
이때, 제 맥미니에 팀원 한 분 한 분씩을 게스트 사용자로 추가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권한 설정 및 맥 미니에 사용자마다의 고유 디렉터리가 생기는 점을 감안해 기본 계정(관리자) 권한 사용자로 추가하여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 + "를 누릅니다.
사용자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작업들을 고른 후 "확인"하면
이렇게 사용자가 등록되면 "완료"
3. 접속
자 그럼 이제 다시 화면 공유로 돌아와
원격 관리에서 보여주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제 여기에 등록한 사용자의 이름 및 암호를 작성하면!
이런 식으로 원격 접속이 완료됩니다!
외부망에선?
하지만 이건 단순히 제 맥미니와 제 맥북이 같은 공유기의 네트워크를 사용 중이라, 문제없이 접근이 된 것입니다.
만약 외부망에서 접근을 하게 된다면?
이런 식으로 연결이 실패하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외부망에서 제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로의 포트포워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입니다.
4. 포트포워딩 iptime 기준
저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 중이기에 iptime 기준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192.168.0.1로 접속합니다.
로그인을 해 주시고,
메뉴 탐색기 ->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내부 IP 주소는 맥 미니의 내부 IP 주소를,
포트는 VNC는 일반적으로 5900 포트를 쓰기에 외부 5900 포트 연결 요청을 내부 5900 포트로 포워딩합니다.
5. DDNS 설정
공유기 같은 경우는 공유기를 껐다 켜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외부 IP가 변경됩니다.
그렇게 되면 이때마다 연결 설정의 IP를 바꿔줘야하기 때문에
DDNS를 활용합니다.
메뉴탐색기 -> 고급 설정 -> 특수 기능 -> DDNS 설정에서
원하는 호스트 이름과 이메일을 입력하여 호스트를 등록합니다.
"입력한 호스트 이름".iptime.org 형식입니다.
이제 이 녀석을 기존 ip를 입력했던 부분에 넣고 다시 연결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외부에서도 접속이 잘 됩니다!!
이건 제 맥 미니에 모니터를 연결한 후 맥북으로 원격 접속을 한 영상입니다.
이렇게 제 맥북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면 아주 빠른 반응성으로 맥 미니 화면에서도 움직입니다.
이렇게 GUI를 갖춘!!! 서버가 생겼습니다.
이제 서버 팀원 분들이 작업이 필요하실 때마다 원격으로 접속해서 편하게~ GUI로 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