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불명확한 이슈 제목, 설명이 부족한 PR 등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팀원이 많아질수록 코드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도 일관성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현재 제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 팀에서 사용 중인 Issue 및 Pull Request Template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Issue Template
이슈는 협업 중 발생하는 할 일(To-do)을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명확한 이슈 템플릿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어떤 작업을 해야 하는지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음
- 작업 범위와 목적이 명확해짐
- 중복 이슈를 방지할 수 있음
따라서 현재 저희 팀은 다음과 같은 이슈 템플릿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템플릿 구성 설명
***
### 세부내용
***
### 체크 리스트
- [ ] 구현
- [ ] 기능 테스트
- 세부내용:
이슈에서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 간략하게 설명하는 공간입니다.
구현하려는 기능의 목적이나 방향성을 서술하여, 이슈만 봐도 작업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체크 리스트:
이슈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주요 작업 항목을 나열합니다.
예를 들어, 구현이 완료되었는지, 기능 테스트를 마쳤는지 등을 체크박스로 관리하여 이슈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상황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추가하거나, 체크 리스트 이름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Pull Request Template
저희 팀은 Pull Request를 통해 변경된 사항을 명확히 전달하고, 리뷰를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템플릿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템플릿 구성 설명
## 개요
## 작업사항
## 변경로직
### 변경 전
### 변경 후
## 사용방법
## 기타
- 개요
해당 PR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는지 간단히 요약합니다. - 작업사항
이번 PR에서 수행한 작업을 항목별로 정리합니다. - 변경로직
변경된 코드의 흐름이나 구조적인 변경 사항을 설명합니다.- 변경 전: 기존 동작 방식이나 코드 흐름
- 변경 후: 변경된 방식, 개선된 구조 등
- 사용방법
기능을 테스트하거나 확인하는 방법, 또는 추가 설정 등이 있다면 여기에 작성합니다. - 기타
리뷰어에게 하고 싶은 말이나, 참고 자료, 관련 이슈 링크 등을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