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이번 포스팅에선 연결 리스트(Linked List)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먼저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필요할때마다 메모리를 할당받아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2. 미리 메모리를 확보한 다음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는 방법. 여기서 1번이 연결리스트의 데이터 삽입 방식이다. 연결 리스트는 낭비되는 데이터는 없지만 연관된 데이터끼리 연결 짓는 것이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연결 리스트란? 연결 리스트는 두 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node가 기본 단위이다. node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필드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링크 필드로 구성된다. node는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을 하나로 묶으므로 class에 해당된다. 따라서 링크필드에 해당하는 것은 class 포인터이다. 이를 노드형 포인터라..
한 학기 동안 자료구조를 수강했다. 자료구조를 배우고 난 후 문제 해결을 바라보는 각이 달라져있음을 느꼈다. 한 학기 동안 배운 자료구조의 내용을 되돌아보면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자료구조란?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컴퓨터에서 처리할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조화시키기 위한 학문이다. 즉,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자료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하여 구성하고 저장 및 처리하는 모든 작업을 의미한다. 자료+구조, 말 그대로 자료를 다루는 구조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굉장히 다양한 자료구조가 있고 각각의 뚜렷한 장단점이 존재한다. 그렇기에 특정한 상황에서 필요한 최고의 자료구조를 생각해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자료구조를 배우는 이유? 자..
· 회고
어느덧 쏜살같이 22년의 반이 지나갔다. 블로그를 개설한 지는 좀 됐지만 드디어 제대로 된 첫 글을 작성하게 됐다. 핑계를 대자면 학기 중에는 공부하랴 뭐 하랴 바빴다...ㅎㅎ + 블로그에 어떤 내용들을 올릴까 콘텐츠 구상을 하느라 종강을 하고 나서야 올리기로 마음먹었다. 한 번 회고를 시작해 보도록 하자! 1. 복학 전 나는 컴퓨터공학과 19학번으로 1학년을 마친 후에 20년도 3월부터 21년도 7월까지 군 복무를 했다. 코로나 때문에 조기 전역이 가능해서 원래는 9월 전역이지만 휴가를 모아 7월에 전역할 수 있었다. 그래서 올해 22년도 1학기 복학하기 전까지 반년 넘는 시간이 있었다. 복학 전까지 하지 못했던 공부를 해보려고 했는데 군대에서 허리를 좀 심하게 다쳐서 나오는 바람에 치료와 회복에만 집..
팜준
코드가 자라나는 텃밭